파일명 | 용량 | 확장자 | 재생시간 | 해상도 |
---|---|---|---|---|
천녀랑군.txt | 69.6K | txt | - | - |
파일플렉스는 언제어디서나 모바일로 실시간 감상이 가능합니다.
프롤로그 1
무림의 역사는 마교의 역사라 할 수 있다. 먼저 마교가 있었고, 그 마교를 견제하기 위해 역대 황실과 조정이 민간의 무력집단을 전면에 내세우는 과정에서 무림이라고 하는 것이 생겨났으니까. 따라서 마교가 성하면 무림도 성하고, 마교가 쇠하면 무림도 쇠하는, 마교의 흥망성쇠에 따라 무림의 운명이 결정되어지는 것이 이제까지의 이른바 무림의 역사였다.
마교와 무림의 최초의 충돌은 북송 말. 마교의 8대 호법사자 가운데 한 명이었던 방랍이 절강에서 일으킨 난을 당시 녹림도를 이끌던 양산박의 호걸들이 진압하면서부터였다. 이때 양산박 호걸들을 회유하기 위해 조정이 내세웠던 조건, 즉 이제까지의 모든 죄를 사면해준다고 하는 조정의 약속이 이후 녹림과 구분되는 무림이라는 존재의 시작이었다.
이후 마교와의 싸움은 조정으로부터 이권을 약속받은 강호의 무리들이 떠맡게 되었고 그결과 수백년에 걸친 마교와 무림 제 세력간의 싸움이 벌어지게 되었다. 그것은 금이 침략하고 북송이 남송으로 밀려나던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몽골의 침략에 중원에 사는 모든 이들이 일치단결하여 일어났을 때에도 그들은 서로를 증오하고 경멸하며 끊임없이 공격했다.
원말명초. 방국진이 일어나고, 서수휘가 세를 얻고, 장사성이 천하를 논하고, 진우량이 웅심을 펴던 그 모든 혼란은 그들의 싸움의 결과였다. 때로 마교가 흥하고, 떄로 무림이 흥하면서 소금장수가 영웅이 되고, 왕을 칭하던 자가 수하에게 모살당하는 연속이었다. 그러한 속에서 마교에 뿌리를 두고, 유림의 지지를 확보한 주원장이 천하를 얻은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 할 수 있다. 두 세력 모두 주원장을 자신의 편으로 여기고 지원을 아끼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주원장이 선택한 것은 북송의 황실과 이어진 무림의 세력들이었다. 마교는 그 세가 다른 모든 정파를 합친 것만큼이나 강하지만 그래봐야 그것은 무언가를 부수는 힘이지 지키는 힘은 아니었다. 반면 명문정파는 그 뿌리가 남송 황조와 잇닿아 있어 새로운 황조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지배권력을 굳건히 하는 데에 있어 큰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가난한 농민의 자식으로 태어나, 먹고 살기 위해 출가했다가 파계한 전력까지 있어 누구보다 정통성에 목말라 했던 주원장에게 있어 그것은 도저히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이었다.
결국 명 황조가 시작되고 그 첫 황제로서 등극한 주원장은 황제로서의 가장 첫 일성으로 마교 토벌을 명령했다. 가장 가까운 측근들까지 포함해 마교와 관련된 모든 것들을 새로운 황조에서 말끔히 지원버림으로써 유림과 무림의 지지를 끌어내려한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의도는 성공했다.
십년의 전쟁이었다. 십년간 그야말로 끔찍한 혈전이 이어졌다. 황하가 피로물들고, 장강이 시체로 덮였다. 명의 건국공신이던 남옥이 죽고 서달이 죽었다. 명문정파에 속한 무가들조차 마교와 조금이라도 연관이 있다면 마도로 몰려 멸문지화를 당했다. 물경 십 만. 그 사이 죽어간 사람의 수다.
당시 마교는 몽골과의 전쟁으로 원기를 크게 상한 상황이었다. 원래 비밀결사로서 유지되어 오던 조직은 몽골에 대한 조직적인 항쟁을 위해 중원의 군웅들에게 거의 공개되었다. 심지어 마교의 절기들조차도 한손이라도 늘이겠다는 일념으로 재능이 있는 자들에게 아낌없이 전수되었다. 그 결과 중원의 힘은 강해져 몽골을 북원까지 몰아낼 수 있게 되었지만 역설적으로 중원이 강해짐으로 해서 마교는 더이상 절대적인 강함의 존재가 아니게 되어버린 것이다.
홍무 2년 당시 마교교주이던 화양신검 묵청이 본산을 옮기던 도중 소림과 무당의 매복에 걸려 목숨을 잃은 이후 마교는 그야말로 지리멸렬했다. 대명의 천하에서 마교가 갈 수 있는 곳은 없었다. 저항하려해도 마교의 힘은 더이상 최강이 아니었다. 죽음과 도피의 대장정. 십만 마교는 거의 구만의 교도를 잃고서야 겨우 서장과 청해의 경계로 숨어들 수 있었다. 이것이 마교를 중원에서 완전히 몰아낸 이른바 제 1차 마교대전이다. 정파의 명숙들은 이것을 일컬어 정명대전이라 부르며 정파의 대표적인 업적으로 꼽았다.